‘작지만 알찬 축제… 세계적 명품축제로의 노력 남아

1400년전 대백제의 부활이라는 주제로 ‘제57회 백제문화제’가 9일간 시민들의 뜨거운 사랑으로 9일 부여 구드래 둔치 주무대에서 열린 폐막식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이번 축제는 지난해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며 유명세를 떨쳤던 2010세계대백제전 이후에 개최한데다, 축제 예산이 지난해의 1/5 이하로 감소하고, 행사기간도 9일에 불과해 부담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 보다 ‘작지만 알찬 축제’로 입소문을 타면서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밀려들었고, 단체관람객들의 발길이 줄을 이으면서 이런 우려를 말끔히 씻어냈다.

백제문화제 마지막 날인 9일의 관람객수는 10만1600명으로 백제문화제 기간의 총 관람객수는 76만1000명으로 집계됨에 따라 당초 유치목표 60만명(외국인 1만명) 보다 16만명이 더 다녀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경제적 파급효과도 525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분석됐다.

제57회 백제문화제는 ‘저비용 고효율’이 더욱 가시화됨으로써 장차 자립형 축제로 안착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의외로 볼 것이 많다”는 감탄사 곳곳서 터져나와 

-성과는

이번 축제는 앞으로 백제문화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되짚게 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 먼저 백제문화제는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소재로 한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축제임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축제 기간 중 관람객들 사이에선 “의외로 볼 것이 많다”는 감탄사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심지어 지난해 성공 개최한 2010 세계대백제전과 견줘 “작년에는 방만하게 늘어놓은 것 같았는데, 올해는 속이 꽉 찬 느낌”이라는 견해를 밝히는 관람객이 적지 않았다. 이번 축제 프로그램이 그만큼 다양하고 알찬 구성을 갖추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개막 첫날인 지난 1일, 하루 동안 12만 162명의 관람객이 공주의 축제현장을 방문한데 이어 2일 11만 2752명, 3일 9만 7590명 등 개천절로 이어지는 3일간의 황금연휴 동안의 관람객이 33만 504명에 달했다.

평일인 4~7일 경우에도 낮시간대에 학생 등 단체관람객의 방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데다 저녁시간대에 가족과 연인 등의 관람객이 찾아오면서 하루평균 방문객이 8만4천명을 웃돌았고, 이 기간 중 방문한 외국인 관람객의 수도 2만명이 넘어섰다.

실제로 ‘개막식’의 파격적인 변신부터 지금도 화재거리다. 공산성과 금강을 무대배경으로 삼은 연출기획부터 발상의 전환인데다 ‘백제 중흥의 꿈’을 컨셉으로 한 주제공연, 대폭 간소화한 의전행사 등은 백제문화제가 ‘관람객 중심의 축제’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개막식 피날레를 장식한 한화의 불꽃놀이는 규모와 내용 등에서 두고두고 얘깃거리가 될 전망이다. 또한, 한화가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4억원을 들인 사례는 ‘주민 및 기업의 축제참여모델’ 정착에 촉진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체험 프로그램의 개선 노력이 가장 돋보였다. 방만했던 체험 프로그램들은 이번 축제에서 ‘백제’에 모티브를 둬 여타 축제의 현장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줬다. 함께 진행된 백제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캠페인도 호응을 얻었다.

공주 공산성의 성안마을에 조성한 ‘백제마을’은 실제 백제유적 발굴현장과 만난다는 점에서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이번 축제가 갖는 또 하나의 각별한 의미는 백제문화상품전국공모전, 국제창작무용경연대회, 전국고교학생백일장 대회 등 경연(Contest) 프로그램이 자립형, 참여형 축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처음 실시한 대회임에도 불구하고 백제문화상품전국공모전에 204개 작품, 국제창작무용대회에 외국인 9개팀을 포함한 41개팀, 전국고교학생백일장에는 800명의 학생이 각각 참여해 열띤 경연을 벌였다. 여기에 웅진성퍼레이드 등 각종 축제 프로그램에 동참함으로써 ‘참여형 축제’로 안착토록 한 지역주민 및 국내외 관람객, 자발적으로 나선 자원봉사자와 도우미 등의 성숙한 시민의식은 이번 축제에도 또다시 발현했다.

 

 세계적인 명품축제로 안착... 아직 갈길 멀다

-과제는

이번 축제가 자타가 공인하는 성공적인 축제임에도 불구,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명품축제로 안착하기 위해선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민 및 관람객이 적극적․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참여형 축제’, 자체적으로 축제재원을 확보하는 ‘수익형 축제’로 정착 또한 숙제가 아닐 수 없다.

이번 축제에 실험적으로 첫 도입한 웅진골장터-천년의 맛 집, 백제마을, 백제유적 발굴 현장, 주거공간 전시 및 대장간 시연 백제문화상품전국공모전, 국제창작무용경연대회, 전국고교학생백일장대회 등 경연(콘테스트) 프로그램은 첫 시연임에도 많은 참여자의 동참으로 비교적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백제문화제가 명품축제로 성장하기 위해선 경연을 국내적 최고의 명성을 갖는 대회, 국내외인이 참여하는 대회 등으로 자리 잡도록 좀 더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지혜를 모아야 한다. 행사 때마다 지적되는 내용이지만, 공주 금강신관공원의 행사장 중앙을 차지해 축제의 초점을 흐리게 한 서커스공연, 시가지 일원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잡상인들의 혼잡을 차단하기 위한 근본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개막식 주제공연 중 음향 중단, 동아일보 2011공주마라톤대회 등 축제 병행 프로그램으로 인해 빚어진 단기간 교통 혼잡, 등은 개선과제로 지목됐다. 무엇보다 백제문화콘텐츠를 산업화함과 더불어 체계적인 마케팅으로 연계함으로써 지역 성장 동력의 블루오션으로 만드는 것에 가장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파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