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송선·동현지구 드론 촬영 사진. 공주시 제공.

 

“지난 수백 년간 조상 대대로 터를 잡고 살아온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뺏기게 생겼는데, 요즘 분통이 터져 밤잠을 설친다는 원주민들이 한둘이 아닙니다.”

“모든 것을 다 처분하고 들어와 이제 막 자리를 잡았는데 또다시 떠나야 한다니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주민들과 충분한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주민을 무시하는 처사아닙니까."

충남 공주시 송선동과 동현동 일원 약 660필지 94만㎡ 부지에 모두 5577억 원이 투입되는 ‘송선·동현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원주민들의 반발로 난항이 예상된다.

마을 주민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수시로 모여 대책을 논의 중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린데 이어 청년비대위와 지주대책위도 곧 발족해 조직적인 반대운동에 나설 예정이다.

마을 주민 100여 명은 최근 ‘송선·동현 신도시’ 개발 반대 의견서를 공주시에 제출한데 이어 향후 법적 쟁송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의견서에는 하나같이 ‘결사반대’라는 구호가 담겨 있고 심지어 ‘낙선운동 불사’라는 구호까지 등장해 이곳 주민들의 결연한 의지를 가늠케 하고 있다.

이승주(53) 송선1통 이장은 “주민의견 청취를 위한 공람·공고 중에 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해 주민들로썬 날벼락을 맞았다. 소위 주민 ‘개무시’로,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겠다는 주민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면서 “말도 안 되는 행정에 뿔난 주민들은 물론 전국의 지주들의 항의성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곳 송선과 동현은 세종시와 지근거리에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개발돼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데 굳이 개발하겠다니 ‘공공’이라는 미명 아래 땅 장사로 손쉽게 돈을 벌겠다는 심보 아니냐”며 “지역 균형발전 취지에도 어긋난다. 외려 낙후지역을 개발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병헌(42) 청년회장은 “10년 전 이곳으로 이사와 터를 잡고 살고 있고, 여러 지인들까지 불러들여 옹기종기 살고 있다. 한 분은 그간 텃밭만 가꾸다 도시생활을 청산하고 집을 지을 계획이었는데 느닷없는 개발 계획 발표로 난감해하고 있다”면서 “모든 것을 청산하고 들어왔다가 낭패를 당한 분, 빗까지 얻어 집 지을 땅을 장만했다가 낭패를 당한 분 등 사정이 딱한 분들이 부지기수로, 모두들 막무가내식 행정에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송선동에 집 지을 땅을 마련한 김 모 씨는 “층간 소음 등 이웃들과의 마찰 때문에 아담한 집을 짓고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고 싶었는데, 이런 소박한 꿈도 물거품이 되게 생겼다”며 “내 땅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현실에 분노가 치민다”고 말했다.

원주민들의 반발이 심해질 경우 신도시 사업 진행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최대 복병은 ‘종친’ 부지로 꼽히고 있다.

송선동현 신도시 개발 사업부지 내에는 이 씨들의 종중 땅이 여럿 있는데다, 윤 씨와 김 씨 등의 종중 땅도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임야 대부분이 종중 땅으로, 가문의 원 뿌리인 1·2대의 조상 묘가 있다 보니 종중들의 조직적인 저항이 만만찮을 것이란 관측이다.

원주민들의 반발에 종중의 거센 반발까지 예상되는 가운데 공주시는 주민들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보장하겠다는 입장이다. 재산권 보호도 중요한 만큼 사업시행자인 충남개발공사 측에 강력히 요구하는 한편 ‘이주자 정책단지’ 조성, ‘대토보상제’ 시행, 아파트 및 택지 분양 시 우선권 부여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이익은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 만큼이나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있다. 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T/F 구성 또한 주민 이익의 최대한 보장에 있다”면서 “주민들의 서운한 감정을 익히 알고 있다. 그간의 과정이 투기 과열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던 만큼 이해해 주셨으면 한다”면서 “법적으로 주민들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송선·동현지구 신도시 개발 사업 추진을 축하하는 현수막이 도심 곳곳을 도배하다시피 한 가운데 시가 현수막 문구를 몇몇을 지정해 각 사회단체 등에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권을 동원한 ‘관제홍보’ 아니냐는 비판이다.
 

저작권자 © 파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