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헌회장 “많은 역사를 간직했던 정방뜰”

▲당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나당연합군을 이끌고 웅진성을 공략하기 위해 부여에서 금강을 거슬러 올라와서 머물렀던 고마나루 남쪽 강변일대 ‘정방뜰’ . 윤여헌 향토문화연구회 명예회장이 설명하고 있다.
고마나루 남쪽 강변일대를 ‘정방뜰’ 또는 ‘소정평(蘇定坪)’으로 부르는데, ‘소정’은 당나라 장수 소정방에서 유래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은 당나라 장수 소정방(蘇定方)이 나당연합군을 이끌고 웅진성을 공략하기 위해 부여에서 금강을 거슬러 올라와서 머물렀던 곳이다.

660년 백제가 망한 후 당은 백제의 옛 땅을 나눠 5개 도독부를 설치하고 웅진도독부를 중심으로 백제의 강토를 통치, 신라의 끊임없는 압박으로 676년(문무왕 16년) 본국으로 철수할 때까지 16년 동안 존속했다.

‘정방뜰’은 그 옛날 매우 번창했던 곳이다.

삼국사기에 ‘481년(동성왕 3년) 6월에 웅천(熊川)에 물이 넘쳐 200여 호가 표몰 되었다’는 기록은 시내가 강변에 있었음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강변에 위치했기 때문에 천여 년을 지나오는 동안 물에 씻기고 모래가 덮여 쌓여서 오직 이름만이 남아 있었는데, 1946년 큰 장마로 모래를 쓸어가는 바람에 그 자리가 한 때 드러났었다.(해방 전까지도 인가가 있었다.)

윤여헌 회장에 따르면, 목격자의 말로는 점토로 가로·세로 쌓은 건물 기단이 완연하였다고 한다. 소정방이 머물렀던 자리라면 지금도 점령군이 그러하듯이 시가지 중앙의 요충지요, 규모가 큰 관청의 건물이었을 것이다.

정벌군의 총수요, 당 고종의 위엄을 등에 업은 소정방이 부여에서 대승을 거두고 웅진에 상륙했던 점에서 그러하고, 현대의 군장처럼 아무데에 막사나 건물을 지을 수 있는 장비나 또 그것을 운반할 수 있는 기동력을 갖추었으리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백제는 인접한 고마나루를 통해 중국이나 일본과 교역을 했을 뿐 아니라, 이 나루는 내륙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임진왜란 이후, 한때 충청도 관내 군병들의 훈련장으로 쓰이기도 했다.

윤여헌 회장은 “이렇듯 많은 역사를 간직했던 정방뜰은 1천여년을 지나오는 동안 금강의 범람으로 흔적도 없이 강물이 쓸어가 버리고, 다만 이름만이 남아있을 뿐”이라며 아쉬워 했다.

한편 현재 이곳은 농가가 들어서고 농토로 변해  ‘정방뜰’ 표석만이 우뚝 서있을 뿐이다. 
 

▲정방뜰 표지석.

저작권자 © 파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